부가가치세는 “언제·무엇을·어떻게”만 잡으면 쉬워집니다. 이 글은 **연중 신고 달력(예정·확정)**과 **업종별 체크리스트(간이 vs 일반)**를 한 장에 정리합니다. 홈택스(www.hometax.go.kr)**·**손택스(모바일) 신고 흐름, 매입세액공제 불가 항목, 면세/영세율 안분 요령, 간이과세 업종부가율까지 초보도 바로 적용할 수 있게 안내합니다.
목차
부가세 신고 달력(예정·확정) 한눈에 보기
나는 간이? 일반? 과세유형 빠른 판별
일반과세자 체크리스트(업종별)
간이과세자 체크리스트(업종별·업종부가율 핵심)
공통 준비물 & 홈택스/손택스 신고 6단계
매입세액공제 ‘불가’ 항목 TOP 10
면세·영세율·겸영사업 안분 체크
자주 하는 실수 & 리스크 관리 팁
FAQ 3문 3답
1. 부가세 신고 달력(예정·확정) 한눈에 보기
일반과세자 기준(반기 과세 + 분기 신고)
1기 예정(1~3월) → 4월 25일 신고·납부
1기 확정(1~6월) → 7월 25일 신고·납부
2기 예정(7~9월) → 10월 25일 신고·납부
2기 확정(7~12월) → 다음 해 1월 25일 신고·납부
간이과세자 기준(연 1회 확정이 원칙)
확정(전년도 1~12월) → 매년 1월 25일 신고·납부
일부는 7월 예정고지(납부서로 고지) 대상일 수 있음(신고가 아니라 고지 납부 중심). ※ 실제 기한은 **홈택스 공지( www.hometax.go.kr )**에서 반드시 확인.
2. 나는 간이? 일반? 과세유형 빠른 판별
간이과세자(개인): 직전연도 공급대가 합계가 간이과세 기준 범위에 해당. 세금계산서 발행 제한, 업종부가율로 간편 산출, 매입세액공제 일부 제한.
일반과세자(개인·법인):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, 매출세액 – 매입세액 방식, 수출·영세율·면세 안분 등 정교한 신고 필요.
전환/변경 포인트: 매출 급증, 거래처의 세금계산서 요구, 수입·수출 발생, 대규모 설비투자(매입세액 환급 필요) 시 일반과세 전환이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.
3. 일반과세자 체크리스트(업종별)
A. 도·소매/유통
필수 증빙: 매입·매출 전자세금계산서, 카드·현금영수증 집계, 외상매출·매입명세
포인트: 사은품·반품·에누리 세금계산서 정정, 해외 직구/수입 시 수입세금계산서 및 관세 납부서 확보
리스크: 공급시기 착오, 리베이트 처리 누락
B. 음식점·프랜차이즈
필수 증빙: 카드·현금영수증 매출, POS 집계, 농·축·수산물 매입 명세
포인트: 의제매입세액공제(면세 농수축산물) 적용 요건·한도 확인
리스크: 개인 사용 식자재 혼입, 봉사료 처리 누락
C. 제조·공장
필수 증빙: 원재료 매입세금계산서, 수입세금계산서, 외주가공세금계산서, 감가상각자산
포인트: 재고 실사와 원가명세 일치, 수출 영세율 증빙(수출신고필증 등)
리스크: 고정자산 매입세액 불공제 항목(비영업용 차량 등) 오인
D. 전문서비스(디자인·IT·컨설팅 등)
필수 증빙: 용역계약서, 용역 완료 기준 매출 인식, 외주용역 계약 및 세금계산서
포인트: 완료기준/지속용역 공급시기 판단, 외주 매입세액 적정성
리스크: 접대비성 지출을 매입세액공제 잡는 오류
E. 임대업(부동산)
필수 증빙: 임대차계약서, 임대료 입금내역, 관리비 세금계산서/영수증
포인트: 간주임대료(보증금) 과세 여부, 주거 vs 상가 구분
리스크: 보증금 변동 반영 누락, **면세 임대(주택)**와 과세 임대 혼재 시 안분 미실시
F. 전자상거래/플랫폼
필수 증빙: PG정산서, 오픈마켓/자사몰 매출집계, 환불·취소 내역
포인트: 마켓 수수료 매입 처리, 해외판매(영세율) 증빙, 간이 vs 일반에 따른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성
리스크: 플랫폼별 이중 집계·환불 누락
4. 간이과세자 체크리스트(업종부가율 핵심)
간이과세 산식 감잡기
개념: 간이과세자는 업종부가율을 적용해 산출세액을 계산(일반과세와 달리 매입세액공제가 제한/간편화).
대표 업종부가율 예시
도소매 약 1%
음식점 약 3%
제조 약 4%
기타 서비스 약 5~6% ※ 실제 적용·예외는 요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신고 화면 안내로 확인.
업종별 간이 체크리스트
도소매: 카드·현금영수증 매출 합계, 매입증빙 보관(세액공제용 아님). 세금계산서 발행 제한 유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