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pisode 7 — 감가상각 쉽게 이해하기: 비싸게 산 건물·기계의 “시간 비용”
감가상각은 여러 해 동안 쓰는 자산의 비용을 기간별로 배분하는 방법이다. 자산을 산 날 전액 비용 처리하면 당기 성과가 왜곡되므로, 내용연수 동안 잔존가치를 제외한 취득원가를 합리적 기준(정액·정률·생산량 등)에 따라 나눠 비용으로 인식한다. 재무보고는 K-IFRS **유형자산 기준서(IAS 16)**를 따른다(https://www.ifrs.org, 한국어 자료: https://www.kasb.or.kr). 실무에서는 자본적 지출/수익적 지출 구분, 감가상각누계액(차감계정), 손상평가(IAS 36), 리스사용권자산(기준서 1116), 세법상 상각 한도(법령: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://www.law.go.kr)가 핵심 포인트다. 본문은 개념→방법→예시표→분개→세무 이슈→체크리스트→FAQ 순으로 정리해..
세무와 회계 그리고 재무/세무·회계 실무 팁
2025. 10. 22. 11:5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