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20대 돈관리 2편|7일 지출로그 + 50:30:20 예산법으로 ‘세는 돈’ 막기

본문

돈이 남지 않는 핵심 이유는 모르는 소비다. 7일 지출로그는 내 소비의 패턴과 트리거(야근·푸시 알림·모임·보상심리)를 짧고 빠르게 채취하는 도구다. 생활비 결제수단을 체크카드 한 장으로 단순화하고, 주간 보급(월요일 충전) 규칙과 이월 금지 원칙을 적용하면 즉시 통제력이 올라간다. 7일 기록을 바탕으로 50:30:20 예산법(필수지출 50%, 선택지출 30%, 저축·투자 20%)을 20대 실수령에 맞게 보정하고, E1의 3통장 구조와 연결하면 한 달 안에 “세는 돈”을 틀어막을 수 있다. 본문에는 7일 템플릿, 소득 구간별 예산 예시, 실패 패턴 교정법, 추천 도구(토스 www.toss.im, 뱅크샐러드 www.banksalad.com, 구글 스프레드시트 www.google.com/sheets/about/, Microsoft 엑셀 templates.office.com)까지 담았다.

 

목차

  1. 왜 7일 지출로그인가: ‘짧고 굵게’가 통제력을 만든다
  2. 세팅: 체크카드 한 장 + 기록 도구(앱/시트)
  3. 7일 지출로그 템플릿 & 작성 예시
  4. 분석: 4가지 소비 트리거와 누수 포인트 찾기
  5. 50:30:20 예산법을 20대 실수령에 맞게 커스터마이징
  6. 운영 루틴: 주간 보급, 알림, 리셋 규칙
  7. 흔한 실패 패턴 7가지와 교정 팁
  8. 레퍼런스 & 다음 편 예고

 

1. 왜 7일 지출로그인가? ‘짧고 굵게’가 통제력을 만든다

  • 진입장벽 최소화: 30일 기록은 작심삼일이 되기 쉽다. 7일은 누구나 통과한다.
  • 패턴 포착 충분: 평일·주말을 포함하면 출퇴근·식사·여가 패턴이 드러난다.
  • 즉시 개선: 1주 결과만으로도 누수 항목 2~3개를 바로 절약 가능하다.
  • E1과 맞물림: E1에서 만든 생활비 주간 보급을 실제 데이터로 보정할 수 있다. 1편 보러가기

2. 세팅: 체크카드 한 장 + 기록 도구(앱/시트)

  • 결제 수단 단순화: 생활비는 체크카드 1장으로 고정. 현금·다른 카드 혼용을 끊는다.
  • 기록 도구
  • 규칙: 결제 직후 10초 메모. “무엇을, 왜?”까지만. 메모가 분석의 80%다.

3. 7일 지출로그 템플릿 & 작성 예시

아래 표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(앱/시트 아무거나 OK).

날짜카테고리금액결제수단트리거(상황/감정)메모
식비 8,500 체크 점심시간·회사 근처 편의점 도시락
카페 4,500 체크 회의 전 졸림 아메리카노
교통 2,650 체크 출퇴근 버스 왕복
배달 17,800 체크 야근·피곤 치킨 1인
쇼핑 29,900 체크 앱 푸시·할인 양말/티셔츠
술/모임 24,000 체크 친구 약속 호프집
여가 12,000 체크 데이트 전시회
식비 9,000 체크 브런치 샌드위치

작성 팁

  • 카테고리는 6개 이내(식비/카페/교통/주거/쇼핑/여가). 많을수록 분석이 흐려진다.
  • 트리거는 솔직하게: “야근 스트레스”, “푸시 알림”, “모임 압박”. 숫자보다 원인이 중요하다.

20대 돈관리 2편|7일 지출로그 + 50:30:20 예산법으로 ‘세는 돈’ 막기

4. 분석: 4가지 소비 트리거와 누수 포인트 찾기

  1. 시간 트리거: 야근·밤 시간대 배달 폭증? → “밤 10시 이후 배달 금지” 알림.
  2. 장소 트리거: 회사 주변 카페? → 텀블러·사내머신, 주 3회로 제한.
  3. 감정 트리거: 피곤/보상 심리? → “대체 행동 2개(산책·홈트)”를 미리 정해 둔다.
  4. 알림 트리거: 쇼핑앱 푸시·세일 문자? → 불필요 푸시 해제, 장바구니 24시간 룰.

누수 점검 체크리스트(Yes/No)

  • 주 3회 이상 카페/디저트 결제?
  • 야간 배달 2회 이상?
  • 구독료(OTT·멤버십) 사용률 50% 미만?
  • 모임/회식에 예산 상한 없음?
    Yes가 2개 이상이면 다음 항목에서 예산 제어 핀을 꽂자.

5. 50:30:20 예산법을 20대 실수령에 맞게 커스터마이징

기본 공식:

  • 50% 필수지출(주거·통신·교통·최소 식비·보험)
  • 30% 선택지출(카페·외식·여가·쇼핑·모임)
  • 20% 저축·투자(비상금·목표저축·연금저축)

“내 월급에서 가능한 비율이 맞을까?” 그래서 현실형 보정을 적용한다.

소득 구간별 예산 예시(실수령 기준)

  • 실수령 180만 원
    • 필수 55% = 99만 / 선택 25% = 45만 / 저축 20% = 36만
    • 사유: 주거비 비중이 높아 필수 5%p 상향, 선택 5%p 하향.
  • 실수령 220만 원
    • 필수 50% = 110만 / 선택 30% = 66만 / 저축 20% = 44만
  • 실수령 260만 원
    • 필수 45% = 117만 / 선택 30% = 78만 / 저축 25% = 65만
    • 비상금 100만 달성 후 **저축 비중 25%**로 상향.

E1과의 결합(주간 보급)

  • 월 생활비 60만이라면 주간 15만으로 쪼개고, 월요일 오전 자동 보급(E1 규칙).
  • 주간 잔액은 이월 금지 → 월말에 목표저축으로 귀환.저축·연금 세액공제 참고

6. 운영 루틴: 주간 보급, 알림, 리셋 규칙

  1. 월요일 9시: 생활비 주간 보급(자동이체).
  2. 수요일 19시: 중간 점검 알림 — 주간 잔액 50% 이상 남았나?
  3. 일요일 20시: 리셋 — 잔액은 목표저축으로 즉시 이체.
  4. 앱 알림 세팅:

7. 흔한 실패 패턴 7가지와 교정 팁

  1. 현금·다카드 혼용 → 체크카드 1장 원칙. 기록 일원화가 핵심.
  2. 카테고리 과다 → 6개 이내로 통합, “쇼핑/여가/식비/교통/주거/기타”.
  3. 메모 생략 → 금액보다 “이유”가 중요. 10초 규칙을 지켜라.
  4. 주간 보급 이월 → 이월 금지는 심리적 리셋 장치. 남으면 즉시 귀환.
  5. 야간 배달 고착 → 22시 이후 배달 앱 삭제/차단, 대체 식단 미리 준비.
  6. 모임 예산 없음 → “월 2회·회당 2.5만” 상한을 먼저 정하고 초과 시 다음 달 감액.
  7. 구독료 방치 → 분기 1회 사용률 점검, 50% 미만은 해지.

8. 레퍼런스 & 다음 편 예고

  • 홈택스(전자고지·자동납부): www.hometax.go.kr
  • 국민연금(연금저축/IRP 제도): www.nps.or.kr
  •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: www.fine.fss.or.kr
  • 토스(가계부/한도 알림): www.toss.im
  • 뱅크샐러드(통합 자산관리): www.banksalad.com
    **다음 편(E3)**에서는 20대가 바로 써먹는 **필수 금융상품 프라이머(예·적금, CMA, 체크카드)**를 ‘수수료/유동성/혜택’ 기준 1페이지 요약으로 정리한다.

3줄 요약(리캡)

  • 7일 기록만으로도 소비 트리거와 누수를 포착할 수 있다.
  • 50:30:20을 내 소득·주거비 수준에 맞게 보정하라.
  • 주간 보급 + 이월 금지가 지출 통제의 핵심 스위치다.

이번 주 실행 체크리스트

  • 체크카드 1장으로 생활비 고정, 다른 결제수단 OFF
  • 7일 템플릿 생성(시트/앱), 카테고리 6개 이하
  • 월 생활비를 4등분, 월요일 자동 보급 예약
  • 구독료/멤버십 목록 점검, 1개 이상 즉시 해지
  • 일요일 20시 리셋 규칙(잔액 귀환) 실행

 

 

 

 

 

관련글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