돈이 남지 않는 핵심 이유는 모르는 소비다. 7일 지출로그는 내 소비의 패턴과 트리거(야근·푸시 알림·모임·보상심리)를 짧고 빠르게 채취하는 도구다. 생활비 결제수단을 체크카드 한 장으로 단순화하고, 주간 보급(월요일 충전) 규칙과 이월 금지 원칙을 적용하면 즉시 통제력이 올라간다. 7일 기록을 바탕으로 50:30:20 예산법(필수지출 50%, 선택지출 30%, 저축·투자 20%)을 20대 실수령에 맞게 보정하고, E1의 3통장 구조와 연결하면 한 달 안에 “세는 돈”을 틀어막을 수 있다. 본문에는 7일 템플릿, 소득 구간별 예산 예시, 실패 패턴 교정법, 추천 도구(토스 www.toss.im, 뱅크샐러드 www.banksalad.com, 구글 스프레드시트 www.google.com/sheets/about/, Microsoft 엑셀 templates.office.com)까지 담았다.
목차
왜 7일 지출로그인가: ‘짧고 굵게’가 통제력을 만든다
세팅: 체크카드 한 장 + 기록 도구(앱/시트)
7일 지출로그 템플릿 & 작성 예시
분석: 4가지 소비 트리거와 누수 포인트 찾기
50:30:20 예산법을 20대 실수령에 맞게 커스터마이징
운영 루틴: 주간 보급, 알림, 리셋 규칙
흔한 실패 패턴 7가지와 교정 팁
레퍼런스 & 다음 편 예고
1. 왜 7일 지출로그인가? ‘짧고 굵게’가 통제력을 만든다
진입장벽 최소화: 30일 기록은 작심삼일이 되기 쉽다. 7일은 누구나 통과한다.
패턴 포착 충분: 평일·주말을 포함하면 출퇴근·식사·여가 패턴이 드러난다.
즉시 개선: 1주 결과만으로도 누수 항목 2~3개를 바로 절약 가능하다.
E1과 맞물림: E1에서 만든 생활비 주간 보급을 실제 데이터로 보정할 수 있다. 1편 보러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