손익계산서는 기업의 일정 기간 경영성과를 보여주는 핵심 재무제표로, 매출에서 시작해 최종적으로 순이익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단계별로 설명합니다. 이 글에서는 손익계산서의 기본 개념부터, 항목별 해석, 계산식, 예시, 그리고 회계 조작(분식회계)에 대한 주의사항까지 실제 사업자 및 회계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
손익계산서(Income Statement)는 기업의 일정 기간 동안의 수익과 비용을 비교하여 이익 또는 손실을 계산하는 재무제표입니다. 즉, 기업이 얼마를 벌고, 얼마를 썼으며, 최종적으로 얼마를 남겼는지를 보여주는 성적표입니다.
💡 재무상태표가 "현재 자산 상태"를 보여주는 스냅샷이라면, 손익계산서는 "경영성과 흐름"을 나타냅니다.
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됩니다:
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으로 발생한 수익을 의미합니다.
예: 상품 판매 수익, 서비스 제공 수익
상품이나 제품을 만들거나 구입하는 데 들어간 원가입니다.
매출액 - 매출원가
= 실질적인 마진(이익)
제품을 팔고, 회사 운영에 들어간 모든 비용
예: 급여, 광고비, 사무실 유지비
매출총이익 - 판매비와 관리비
기업의 핵심 사업으로 벌어들인 순이익
영업활동 이외에서 발생한 이익 또는 비용
해당 기간에 발생한 세금 비용
실제로 회사의 최종 이익 또는 손실
영업이익 + 영업외수익 - 영업 외 비용 - 법인세
매출액 | 100,000,000 | 상품 총 판매액 |
매출원가 | 60,000,000 | 제품 제조 및 매입 비용 |
매출총이익 | 40,000,000 | 매출 - 매출원가 |
판매비와관리비 | 20,000,000 | 인건비, 광고비 등 |
영업이익 | 20,000,000 | 마진 |
영업외수익 | 2,000,000 | 이자, 임대료 등 |
영업외비용 | 1,000,000 | 이자비용 등 |
법인세비용 | 3,000,000 | 세금 |
당기순이익 | 18,000,000 | 최종 이익 |
📌 이 계산식은 실제 사업자에게 세금 신고, 경영 판단, 투자 유치 시 필수입니다.
분식회계는 재무제표를 의도적으로 조작하여 이익을 부풀리는 회계 부정입니다.
대표적인 방법은 기말재고를 과대 계상하여 매출원가를 낮추는 방식입니다.
기초재고 | 300 | 300 |
당기제조원가 | 200 | 200 |
기말재고 | 100 | 200 |
매출원가 | 400 | 300 |
이익 | 600 | 700 |
📉 재고가 늘어나면서 실제보다 이익이 부풀려집니다.
💡 실무자는 매월 손익계산서를 점검하고, 매출 원천 및 비용 흐름을 파악해 경영 전략을 조정해야 합니다.